티스토리 뷰

해외 배낭여행

일본 개관

soccerpark 2008. 2. 12. 22:14

얼떨결에 떠났던 일본 배낭여행, 기초지식도 없이 떠났기에 아쉬운 점들이 많았다. 그래서 이곳 저곳에서 담은 정보들로 나름대로 정리해 봤다.

 

1. 일본의 지역 및 행정구역

일본은 크게 4개의 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북쪽으로부터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이다.

1)홋카이도(北海道)

-홋카이도(北海道)지방

홋카이도(삿포로)

이 지역은 4개의 주요 섬 중에서 두 번째로 크면서 가장 북쪽에 위치한 섬이다. 이곳의 기후는 일반적으로 여름에는 비교적 시원하고 겨울에는 매우 춥다. 산맥이 섬을 가로지르고 있어 아름다운 자연경관이 유명하다.

2)혼슈(本州)

-토호쿠(東北) 지방

아오모리현(아오모리), 이와떼현(모리오까), 미야끼현(센다이), 아끼따현(아끼따), 야마까따현(야마까따), 후꾸시마현(후꾸시마)

도호쿠 지방은 기본적으로 농업지대인데 경작지의 65%가 벼논으로 전국 논의 약 4분의 1을 차지한다. 그러나 서늘한 여름기후가 작황에 피해를 주는 경우가 많다. 이 냉랭한 기후에 적당한 과수재배가 성행한다.

-간토(關東) 지방

이바라끼현(미또), 도찌끼현(우쯔노미야), 군마현(마에바시), 사이따마현(우라와), 지바현(지바), 도쿄도(도쿄), 가나가와현(요코하마)

간토지방은 혼슈 남동부에 위치하며 일본에서는 가장 큰 평야인 간토평야로 이루어져 있다. 동경, 요코하마, 가와사키, 치바 등의 주요 도시를 포함하여 일본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곳이다.  이 지역의 중추인 동경-요코하마 지구는 일본의 상업과 산업의 중심지이다. 동경만의 연안을 따라서 뻗어있는 게이힌 산업지대와 게이요 산업지대는 일본에서 가장 큰 산업지대이다.

-츄부(中部) 지방

니이가따현(니이가따), 도야마현(도야마), 이시까와현(가나자와), 후꾸이현(후꾸이), 야마나시현(코후), 나가노현(나가노), 기후현(기후), 시즈오까현(시즈오까), 아이지현(나고야)

츄부지방은 혼슈의 거의 중앙부에 있다. 태평양과 동해를 접하고 있어 태평양쪽은 대체로 온화한 기후이고 동해쪽은 폭설로 유명하다.  츄부지방에는 일본에서 가장 큰 호수들 중의 일부가 있으며, 일본 최대의 쌀 생산지이다. 이 곳에는 세 개의 산업지대가 있는데 도요타 자동차의 주요 설비본부가 있는 츄코 산업지대, 야마하의 기반인 도카이 산업지대, 호쿠리쿠 산업지대가 그것이다.

-긴키(近畿) 지방

미에현(쯔), 시가현(오오쯔), 교토부(교토), 오사카부(오사카), 효고현(코베), 나라현(아라), 와까야마현(와까야마)

혼슈의  중서부에 위치한 긴키지방은 산업적 측면으로 보면 일본에서 두 번째로 중요하다. 옛 수도였던 교토가 바로 이 긴키 지방에 있으며, 오사카와 고베와 같은 도시들이 일본 서부의 상업 중심지로 자리하고 있다. 794년부터 1868년까지 일본의 수도로서 천황이 있었던 교토는 사찰과 신사, 여러 가지 유적들로 유명하며 교육이나 문화의 중심지가 되고 있다.

-츄코쿠(中國) 지방

돗도리현(돗도리), 시마네현(마쯔에), 오까야마현(오까야마), 히로시마현(히로시마), 야마구찌현(야마구찌)

츄고쿠지방은 작은 분지와 연얀평야가 있는 산지이다. 일본이 두 도시(츄코구 지방에 있는 히로시마와 규수에 있는 나가사키)는 2차 대전 당시 원폭이 투하되었다.

3)시코쿠(四國)

-시코쿠(四國지방)

도꾸시마현(도꾸시마), 가가와현(다까마쓰), 에히메현(마쯔야마), 고오찌현(고오찌)

시코쿠(일본의 4개 주요 도서중 가장 작은섬)는 여러개의 위성도시들과 함께 이 지방을 이루며 내륙해를 가로질러 뻗어 있습니다. 높고 허준한 산맥 때문에 농업과 거주는 제한을 받고 있으며, 대규모 산업 또한 없는 편이다

4)큐슈(九州)

-큐슈(九州)지방

후꾸오까현(후꾸오까), 사가현(사가), 나가사끼현(나가사끼), 구마모또현(구마모또), 오이따현(오이따), 미야자끼현(미야자끼), 가고시마현(가고시마), 오끼나와현(오끼나와)

일본 열도 남서의 끝에 있고 , 서쪽으로는 동지나해를 사이에 두고 중국이 있고, 북쪽으로는 대한해협을 끼고 한반도가 있다.

 

2. 일본의 역사

1)조몬-야요이시대(약 B.C. 8천년~A.D.300년경, 고조선)
수렵이나 어업, 식물 등의 채집생활. 토기사용. 무덤 발견. 그 후 벼농사를 시작하고 촌락 형태가 커져서 왕이 지배하는 나라로 발전.
2)야마토-아스카시대(기원전 4세기~7세기경, 삼국시대)
4세기경 야마토지방의 호족들이 연합하여 야마토정권 성립. 국가를 만든 후 왕을 천황이라 부르기 시작. ‘
니혼’이라는 일본 국호가 처음 사용.  6세기 쇼토쿠태자 견수사와 유학생을 중국으로 보내 대륙문화 적극 수용. 백제의 선진문화와 불교 수용.  고구려의 담징이 그린 금당벽화가 있는 교토의 호류지 건립.
3)나라시대:奈良時代(710~794년, 통일신라)

70년간 번영. 수도는 平城京.  천황에 의한 정치와 귀족의 사치생활로 백성들의 힘든 생활. 민심을 달래기 동대사와 대불 건립.

4)헤이안시대:平安時代(794~1184년, 통일신라)

교토로 도읍 변경. 후지와라씨(藤原氏)의 강력한 율령정치로 기강 확립. 일본의 문자인 가나문자 창안. 지방의 무사계급 등장. 일본 고유 문화 발달.
5)가마쿠라시대:謙倉時代(1185~1333년, 고려시대)
1192년 미나모토 요리토모라는 무사가 가마쿠라막부를 수립. ‘쇼군’이라 칭하는 대장군의 막부 정통성 주장. 천황과 귀족 등 정부 외 사무라이들이 존재하며 봉건적인 정치제체 성립. 잦은 전쟁 발발.

6)무로마치시대:室町時代(1333~1576년, 고려/조선시대)

아시카가막부가 천황을 몰아내고 정권 장악. 이 시대 건축양식이 현대에 이르게 됨. 천황이 다시 남쪽 요시노에 정통을 내세우며, 북쪽의 아시카가와 양립하는 전국시대 도립.
7)아츠지-모모야마시대:桃山時代(1576~1603년, 조선시대)

오다 노부나가(識田信長)의 천하통일 야망. 포르투갈과의 교역으로 총포술, 기독교 전파.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가 천하통일 달성. 두 차례의 조선출병. 건축과 미술에 뛰어난 발전. 다도의 대중화. 이케바나(꽃꽂이)와 가부키, 노 등의 전통예능 발달.
8)에도시대:江戶時代(1603년~1868년, 조선시대)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의 에도 막부 시대 개막. 전쟁이 없는 평화로운 시대. 대내적으로는 막번체제, 대외적으로는 쇄국정책. 죠닌(상인)들의 세력 강대. 다이묘 통제정책을 실시하며 신규축성을 금지하고 중앙집권제적 봉권제 실시. 1853년 미국 페리제독과 일미친화조약을 체결. 본격적 개국 시작.

9)메이지시대:明治時代(1868년~1912년, 조선시대)
막부시대가 끝나고, 1868년 메이지천황 수도를 동경으로 천도. 정치개혁(메이지유신) 단행. 사민평등을 실현. 1881년의 최초의 정당인 자유당 창설. 1889년 이토우 히로부미가 주도한 헌법 공포. 제국의회가 개설되어 내각책임제실시. 청일전쟁으로 시모노세키조약 체결하고 러일전쟁으로 포츠머스조약 체결. 1910년 한국 식민지화. 자본주의 사회로의 현격한 발전.
10)다이쇼,쇼와시대(1912년~1988년, 일제강정기/대한민국)
제 1차 세계대전, 태평양전쟁을 거치며
1945년 8월 15일 일
본정부 패전 선언. 많은 외세의 간섭과 미국의 간/직접 통치.
11)헤이세이시대(1988년~현재, 대한민국)

쇼와시대 이후 현대에 이르고 있다.

 

3. 주요 연중행사
1) 간탄(元旦, がんたん) - 1월 1일

신년의 출발을 축하하는 날. 1월1일부터 1월3일까지 3일간을 “오쇼오가쯔(お正月:おしょうがつ)” 또는 “상가니찌(三が日:さんがにち)”라고 하여 일을 쉰다. 정월의 '하쯔모우데(初もうで)'는 신년 첫날 신사에 참배를 가는 것으로 제야의 종소리와 함께 간다든지, 1월1일 아침 일찍 참배하러 가는 것이 많다. 

2) 세쯔분(節分:せつぶん)

입춘 전날. '세쯔분(節分:せつぶん)'날 밤에는 각 가정에서 "귀신은 나가고, 복은 들어와라(鬼は外,福は內)"라고 외치면서 집 안 밖에 큰 콩을 뿌리면서 귀신을 밖을 내모는 것으로 신사나 절에서도 역병을 몰아내는 의식으로 행한다.

3) 마쯔리(祭り)
-'히나마쯔리(ひな祭り)'는 3월 3일로 여자아이의 장래 행복을 기원하는 축제. 옛날 궁궐의 풍속을 모방한 것으로 아름다운 '히나인형(ひなにんぎょう)'와 복숭아 꽃을 함께 장식한다.

-'산쟈마쯔리(三社祭:さんじゃまつり)'는 5월 18일에 가까운 토요일과 일요일에 도쿄의 '센소우지(淺草寺:せんそうじ)'에서 행해지는 마쯔리. '아사쿠사(淺草:あさくさ)'를 지키는 3명의 신(神)을 위한 축제이다.

-'타나바타마쯔리(七夕祭り:たなばたまつり)'는 우리나라의 칠월칠석에 해당하며, 가정에서는 가느다란 종이에 기원하는 내용을 기록하여 장식한다.
-'기온마쯔리(祇園祭り:ぎおんまつり)'는 장마철 비가 많이 내리고 습기가 많아 농작물에 병충해가 들기 쉬운 시기로 옛날 사람들은 나쁜 악귀의 탓이라고 생각하여 악귀의 활동을 억제하려고 행하는 마쯔리이다.

-‘오봉마쯔리(お盆:おぼん)’는 양력 8월 15일의 전후 34일을 일본인들은 여러 음식을 장만하여 조상의 혼령에 공양하여 명복을 비는 행사로 마치 우리나라의 추석에 해당한다
4) 단오절(端午の節句:たんごのせっく)
5월 5일은 일본에서도 어린이날이다. 이때 남자아이가 건강하게 자라나길 기원하는 축제로 무사 인형을 장식하고, 잉어모양의 깃발을 날려 남자아이의 성공을 기원하는 것이다.

5) 시찌고산(七五三:しちごさん)
남자아이는 3세와 5세, 여자아이는 3세와 7세가 되는 해의 11월 15일에 아이들의 성장을 축하해서 새 옷을 입히고 신사에 참배를 가는 행사.
6) 불꽃놀이(花火:はなび)
사람들은 저녁때가 되면 '유카타'차림으로 저녁의 시원함과 더불어 들판에 모여 불꽃놀이를 즐긴다. 가정에서도 간단한 불꽃놀이를 즐기며 한여름의 더위를 잠시나마 식히는 활력소가 되고 있다.

 

4. 지역별 특산물

1) 홋카이도 (北海道) - 게
홋카이도는 해산물의 명산지이다. 성게, 연어알을 비롯한 일본 명물의 해산물이 즐비하지만 그중에서도 대표적인 것이 게라고 할 수 있다.
2) 아오모리(靑森) - 사과
サンふじ(산후지), サンつがる(산츠가루) 두 종류의 사과가 유명한데, 신맛과 단맛이 적절히 조화를 이룬 아오모리 사과는 일본에서 최상급으로 꼽힌다.
3) 모리오카(盛岡) - 냉면
함흥에서 태어난 일본인이 일본에 와서 면의 재료를 달리해 처음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4) 아키타(秋田) - 쌀(아키타코마치 あきたこまち)
지역에 따라 대표적인 쌀 품종이 있으며 こしひかり(고시히카리)로 불리는 것이 최고품종의 쌀을 의미하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あきたこまち(아키타코마치)이다.

니이가타(新潟)의 こしひかり(고시히카리), 야마가타(山形)의 はえぬき(하에누키)등이 유명
5) 야마나시(山梨) - 포도, 복숭아
복숭아, 포도로 만든 각종 과자류를 비롯해 와인도 인기품종 가운데 하나.
6) 미에(미에) - 쇠고기
松坂牛(마츠자카규)로 불리는 이 쇠고기는 최상등급으로 인정.

7) 교토(京都) - 쓰케모노
우리나라 김치와 같은 보존식품으로 배추나 무, 오이, 가지 등 야채를 쌀겨, 간장, 소금 등에 절여서 만든다.

8) 와카야마(和歌山)·기슈(紀州) - 우메보시
일본의 대표적 식품 중의 하나로 매실을 소금에 절여 만든 것. 紀州는 우메보시의 대명사처럼 불리는 곳이다.

9) 시모노세키(下關) - 복어요리
ふぐ(후구)로 불리는 복어로 만든 요리는 일본 고급 요리 중의 하나.

일본에서는 회요리나 샤부샤부요리가 일반적이며 튀김으로 해서 먹기도 한다.
10) 나가사키(長埼) - 짬뽕
한국 짬뽕에서 매운 맛을 뺀 것과 비슷한 요리.

11) 기타 특산물

일본에는 이외에도 아주 다양한 지역에 명물요리들이 많이 있다. 지역별로 라면의 종류와 그 특징들도 아주 다양하며, 일본소주(地酒) 또한 지역별 특징을 담은 많은 제품이 많다.

선물용으로 간단하게 살 수 있는 과자류도 지역별로 독특한 제품들이 많이 있고, 역에서만 판매하는 도시락(에키벤 えきべん)도 유명하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