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축구서적

비즈니스와 축구

soccerpark 2008. 4. 6. 23:30

비즈니스와 축구

(Business and the Beautiful Game, 2005년)

테오 시어벌드(Theo Theobald), 캐리 쿠퍼(Cary Cooper)/맥스미디어

 

 

이 책은 ‘직장 내에서 나의 위치를 이해하고 나의 임무는 무엇인가? 내가 해야 할 일이 무엇인가?’를 축구와 접목하여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중간에 본인의 야망지수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재미도 곁들여져 어렵지 않게 읽을 수 있을 수 있다.

목차는 다음과 같고 그 아래의 내용은 나름대로 책의 내용을 약간은 수정해서 요약을 한 것이다. 축구에 관심이 많으면서 경영학 관련 공부를 하거나, 직장생활을 하는 사람들에게는 추천할 만한 책이다.

 

목차

전반전 the first half / 개인의 능력에 대하여
1. 역량(Skills) - 당신은 필요한 것들을 가지고 있는가?

2. 야망(Ambition) - 성공에 대한 갈망
3. 열정(Passion) - 최고의 자산은 믿음이다
4. 스트레스(Stress) - 정신적 압박에 대처하는 법
5. 규제(Discipline) - 침착하게 질서 지키기

후반전 the second half / 리더십과 팀워크에 대하여
6. 주장(Captaincy) - 조직 정렬시키기
7. 코치(Coaching) - 다른 사람의 학습 돕기
8. 감독(Management) -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일
9. 팀 구성(Selection) - 최고의 멤버 고르기
10. 상대팀(Opposition) - 경쟁자 앞지르기
11. 경기 종료(Full time) - 게임은 지속된다

 

1. 축구에서 배우는 개인 역량

□ - 볼 컨트롤 = 자기 통제력, 조직 통제력

   - 볼감각 = 결정적 순간의 판단 능력

   - 시야 = 앞을 내다보는 통찰력

   - 개인기 = 자신의 강, 약점 알기

   - 체력 = 건강

   - 포지션 = 직무에 대한 적성

   - 경기운영능력 = 역경을 극복하고 나은 방향으로 전진

   이러한 개인 기술이나 능력이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태도.

   마라도나를 일컬어 ‘축구의 황제’혹은 ‘그라운드의 황제’라고 부르지 않는다.

   그는 영원한 ‘그라운드의 악동’이다. 기본적인 태도도 갖추지 못한다면

   성인으로서의 대접을 받길 거부한 것이나 다름없다.

□ 0-0 으로 경기가 끝나고 연장전에 돌입한다. 이런 상황에서 나를 끝까지 도울 수

   있는 것이 열정 외에 무엇이 있을까?

   직장에서도 상황은 비슷하다. 달성해야 할 목표와 마감시간이 주어진 일을 하고

   있다.

   하지만 상황을 고려할 때 시간 내 마무리는 불가능해 보인다.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하나?

   바로 옳은 일을 하고 있다는 신념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 신념에서 열정이

   나오고, 열정을 통해 고갈된 에너지를 재충전 할 수 있다.

□ 카라섹 교수의 ‘직무통제모델’을 보면 스트레스의 크기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3가지 요인이 요구, 통제, 지원이라고 한다.

   ‘요구’란 내/외부에서 특정 지위에 있는 개인에게 기대하는 모든 것을 말한다.

   ‘통제’란 이런 내/외부의 ‘요구’에 대해 개인이 행사할 수 있는 영향력을

    말한다.

   예를 들면 목표달성 시간과 정도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는 힘이 있느냐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원’이란 말 그대로 외부의 지원 정도를 말한다.

   (친구든, 직장동료든)

   스트레스를 받으며 일하는 것은 부상당한 채 경기를 뛰는 것과 같다.

   스트레스를 줄이는 방법은 간단하다. 요구를 줄이고 통제와 지원을 늘리는

   것이다.

 

2. 축구에서 배우는 조직 내에서의 역할

□ 선수 = 실무직원

회사든 축구클럽이든 조직의 부족한 부분을 보장해 줄 인재를 찾는다.

자신의 역량을 알면 자신의 가치를 평가하는데 도움이 된다. 개인의 가치를

결정하는 중요한 능력에는 기술적인 요소, 전술적인 요소, 실질적인 요소가 모두

포함된다.

자신의 가치를 높여 보다 상위의 팀으로 진출하려 노력해야 한다.

□ 주장 = 중간관리자

중간관리자이기 때문에 위와 아래를 이어주는 역할을 하며 양쪽의 언어를 다

이해하고 말할 줄 알아야 한다. 주장은 경기 중 그라운드에서 벌어지는 일에

대해서는 책임을 질 줄 알아야 한다.

또한 자신의 포지션만이 아닌 다른 포지션에서의 관점에서도 경기를 볼 줄 알아야

한다.

□ 감독 = 책임자. 리더.

목표달성을 위해 전략을 세우고 실행되어지도록 이끌어야 한다.

훌륭하고 좋은 전략은 '목표’, ‘자원’, ‘제약’ 이 세가지 요소가 균형을

이루고 최적의 성과를 낼 수 있어야 한다.

 

'축구서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FIFA의 은밀한 거래  (0) 2012.02.21
FOOTBALL 축구  (0) 2012.01.20
존 듀어든의 거침없는 한국축구  (0) 2012.01.13
황홀하고 격정적인 한국축구를 위하여  (0) 2009.10.12
축구의 사회학  (0) 2009.01.01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